인력 부족시대의 공장 매니지먼트- “제조업의 인력부족 실태조사 결과로부터”
인력 부족시대의 공장 매니지먼트– 제조업의 인력부족 실태조사 결과로부터~~
음의 사이클 탈피에는 인게이지먼트(Engagement) 향상이 관건!
JMAC가, 2024년 6월 18일(화)~7월 31일(수)의 기간 실시한 「제조업의 일손 부족 실태 조사」의 결과로부터, 제조업에 대해 일손 부족을
느끼고 있는 사람은 90%를 넘어,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는 것이 재차 부각되었습니다.
그 중에서, 일손 부족의 영향은 종업원에게는 부하의 증가라고 하는 형태로부터 시작되어, 종업원 만족도의 저하, 이직율 증가, 취업자수
감소라고 하는 부정적인 사이클에 빠져 있는 경향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인력 부족이 더 심해지면 현재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매출과 이익의 재무적 영향이 발생할 것으로 짐작됩니다.
또, 반대로 일손 부족에 빠져 있지 않다고 느끼고 있는 층을 보면, 「잔업이 다른 기업과 비교해 적다」, 「임금이 다른 기업과 비교해 높다」
가 가장 많은 회답이 되어, 일하는 환경이나 임금을 포함한 인게이지먼트 (Engagement) 에 미치는 영향이 좋은 사이클로 돌아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회답자 속성
회답 요약
– 인력 부족의 실태
• 90% 이상의 기업이 인력 부족을 느끼고 있다.
– 인력 부족의 영향
• 인력 부족을 느끼고 있는 기업 중, 반수 정도가 「종업원 만족도 저하」 「잔업·업무 부하 증가」 「이직률 증가」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결과가 되었다. 또, 「제품의 품질」 「매출 감소」 「이익 감소」가 생기고 있는 기업은 20% 전후라고 하는 결과가 되었다.
• 인력 부족의 영향은 종업원에 대한 부하의 증가라는 형태에서 비롯되어 만족도의 저하, 이직률 증가, 응모자수 감소라는 부정적인
사이클에 빠지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더욱이 인력 부족이 심화되면 현재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 매출 감소나 이익
감소와 같은 재무적인 영향이 발생할 것으로 짐작된다.
– 인력 부족에 대한 대책의 실태
• 일손 부족을 느끼고 있는 기업 중 7할 이상은 어떠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 대부분의 대책에서, 「추진할 여력이 없다」 「추진할 수 있는 인재가 없다」가 실시상의 과제라고 인식하고 있는 기업이 많은 결과가
되었다.
– 인력 부족을 겪지 않는 요인
• 인력 부족을 겪지 않는 요인은 「 잔업이 다른 기업에 비해 적다 」, 「 임금이 다른 기업에 비해 높다 」 가 가장 많은 응답으로 나타났다.
• 인력 부족과 영업이익률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보조금 활용
• 절반 이상의 기업에서 보조금은 활용되지 않는 결과가 되었다.
인력 부족을 느끼는 기업의 비율
• 일본 국내의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에 대해서 「인력 부족을 느끼고 있는」기업의 비율을 조사했다.
• 그 결과 90.3%의 기업이 인력 부족을 느끼고 있는 결과가 되었다(n=103)
인력 부족에 의한 영향 조사결과
• 인력 부족을 느끼고 있는 기업 중, 반수 이상이 「종업원 만족도 저하」 「잔업·업무 부하 증가」 「이직률 증가」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결과가 되었다.
• 재무적인 영향인 「매출 감소」 「이익 감소」가 발생하고 있는 기업도 20% 전후, 존재하고 있다.
인력 부족 대책과 실시상황
• 대책 가운데 실시한 기업의 비율이 많은 것은 「채용 활동 강화」, 「임금·복리후생의 재검토」, 「근로방식 개혁」이다.
• 또 실시하고 싶지만 이루어지지 않은 대책은 「 설비화·자동화에 있어서의 성인화 」, 「 인게이지먼트 향상」이 되었다.
인력 부족을 겪지 않는 요인.
인력 부족을 겪지 않는 기업이 그 요인으로서 생각하고 있는 것은, 「잔업이 다른 기업과 비교해 적다」, 「임금이 다른 기업과 비교해
높다」가 가장 많은 회답이 되었다(n=10).
고찰과 제언
• 지금은 인력 부족에 따른 실적 악화 영향이 나타나지 않은 기업도 앞으로 인력 부족이 더 진행되면 실적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 시급히 일손 부족을 해소하는 대처를 스타트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대처 내용으로서는 지금 있는 사람을 그만두게 하지 않는 「인재
정착화」와 현상보다 적은 공수로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생산성 향상 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상기 활동에 의한 노동환경 개선을 실시해, 기업 이미지의 향상으로 연결해, 사람이 모이는 기업으로의 변혁을 이루는 것이, 장래적으로
인구 감소가 가속해 가는 가운데 생존을 건 중점 과제이다.
– 인력 부족 시대의 공장 매니지먼트 –
노동인구의 감소는 앞으로 수십 년간 제동이 걸릴 전망이 없는 것이 현실이며, 어느 시점의 일손 부족을 해소하더라도
몇 년 후에는 또 일손 부족에 빠지게 된다. 그 때문에, 「생산성 향상」 「인재의 정착화」 「채용 강화」의 사이클을 계속 돌려,
이익의 창출과 기능 강화를 위한 투자를 실시해 나갈 필요가 있다.
출처 : JMAC Homepage 人手不足時代の工場マネジメント ~製造業の人手不足実態調査より~ | 日本能率協会コンサルティン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