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ㆍ서비스] 『 JMAC PI(BPR) Consulting 』 방법론
[사업ㆍ서비스] 『 JMAC PI(BPR) Consulting 』 방법론
1. 컨설팅 수행 방법론
1-1 JMAC PI 수행 방법론
*준비단계에서 안정화 단계까지 총 8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프로젝트에서는 이행 계획 단계까지가 수행 범위
1-2 JMAC PI 수행 방법론 차별화 Point
*5가지 차별화 Point에 의해 본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수행을 도모
1-3 JMAC PI 추진 방법론 5가지 특징
*5가지 차별화 Point에 따른 방법론의 특징을 통하여 기존의 PI와 달리 Core process 중심의 전개와
경영성과 창출을 가시화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 및 현장 적용시까지 책임지고 프로젝트를 수행함
[특징1] JMAC 경영컨설팅의 73년 노하우를 활용한 Core process의 선정과 가설 수립
*다년간 축적된 제안사의 Know-how와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경험자를 본 프로젝트에 편성하여 성과 창출을 확신 시키고,
본 PI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통찰력을 통해 현상진단 결과 및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고, 선진사의 사례를 기준으로 종합적인
가설을 수립하여 Core process에 대해 집중적으로 활동함.
[특징2] 경영 성과 공헌 관점의 Detail 분석을 통한 문제의 인식
*현상진단을 위한 Data 분석, 관련자 Interview와 현장의 직접관측을 통한 현상조사를 실시하여 현상에서 조사된 문제에 대해
근원적인 문제의 인식과 추구로 프로젝트의 성과 창출을 위한 Detail한 분석을 실시함.
[특징3] Top과 Bottom의 개혁 방향 공감대 구축 및 인식의 공유
*Top과 Bottom의 개혁방향 공감대 구축을 위해서,
① Key-men Workshop (W2), ②경영진 의견 청취 (W7), ③ 실행담당 공유 Workshop (W8), ④ 실행담당 이행 Workshop (W14)을
실시하여 지속적인 변화동력을 가속화 함.
[특징4] 경영 컨설팅과 시스템 컨설팅의 융합을 통한 시너지 창출
*경영 컨설팅(Management)과 시스템 컨설팅(System)의 융합을 통하여 Rule & Policy 기반(경영 컨설팅의 3가지 설계 안에
대한 시스템 구현 및 활용성에 대한 일관 대응이 가능)의 시너지를 창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