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8개별 수주 생산 : 기준 정보】 까다로운 계획 기준을 만들지 말 것
계획을 세우는데 이용하는 계획 기준의 거칠음· 세밀함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세우려는 계획에 맞는 정도의 계획 기준을 쓰지 않으면 오히려 정확도가 나쁜 계획이 생기게 된다.
목적 : 납기
키워드 : 계획 기준, 계산의 정확성
무엇이든 상세 수준의 기준을 사용하면 정확도가 좋은 가?
여기서 말하는 “계획 기준”이란
· 어떤 제품이 있고, 그 제품이 어떤 부품으로 구성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제품 종류” 와 “부품 구성표”
· 이들 제품의 조립 공정과 각 부품의 가공·조립 공정의 “공정 전개”
· 각 공정에서의 작업 순서를 정하는 작업 시간을 설정한 “순서 전개”
이와 같은 계획을 세우고 관리하기 위한 표준을 말한다.
계획 기준의 정비는 계획의 역할(정밀도)과 시간 관리 단위(월, 주, 일 ,시)의 차이에 맞게 정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에서 기술한 계획 기준류는 조립도·부품 그림·소재도의 상세 레벨이며, 소일정 계획 및 작업 지시에 대응하는 것이다.
무엇이든 상세 수준에서 계획하면 “계산의 정확성”은 유지되지만, 예컨대, 상세 수준의 계획 기준을 이용하여 연도 계획을 세운다면, 정말 “계획의 정밀도”가 유지되는 것일까? 구체적인 품번의 관점에서 연간을 예측해도 맞지 않아, “나무를 보고 숲을 보지 못한다”가 될 뿐이라는 의미이다.
대·중·소 일정 계획의 목적에 맞는 계획 기준을 정비
개별 수주 생산의 생산 계획은 일반적으로 제품별로 세운 일정 계획과 공정별로 세운 중일정 계획 및 소일정 계획으로 나눈다. 이들의 계획은 단지 계획 대상 기간의 길이가 대,중,소라는 것만이 아니라, 계획의 구분(제품레벨·주요 구성 기기 레벨 및 개별 부품 레벨의 구분이나, 제품 품종·품목 및 구체적인 품번 레벨 등의 구분)과 시간 관리 단위(월, 주, 일, 분, 초)가 다른 각각 적합한 역할을 맡고 있다.
계획 기준류도 이들의 계획의 역할에 따른 정밀도에 정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개별 수주 생산의 제품별 대일정 계획을 세우려면 세부 계획 기준류에서 대표 품번(가장 양이 많은 것)과 사양 구성 비율을 고려하여 제품 수준으로 모은 “대일정 기준류”를 정비한다. 마찬가지로 중일정계획을 세우려면 세부 계획 기준들을 주요 기기별로 모은 “중일정기준류”를 정비한다.